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143

채권 vs 주식 vs 예금, 지금은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안녕하세요 돈을 공부하는 남자 수페TV의 수페입니다 오늘은 요즘 핫한 이슈죠 채권중에서도 개별채권을 말씀드려볼게요 투자 해야되나? 말아야되나? 고민이 되실텐데요 개별채권은 지금 당장이 아니라도 알아두면 투자전략을 세울 때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볼게요 올해 개인투자자가 채권을 순매수한 금액이 역대급이라고 하는데요 8월까지 집계한 것만 해도 10.3조가 넘습니다 이미 작년 거래액의 2배이상 되고있는 거죠 정말 많은 개인투자자의 채권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2가지 경우를 말씀드릴테니까 여러분도 선택해보세요 배당금 4%랑 채권이자 5% 여러분은 어떤 게 더 손이 가시나요? 요즘 주식시장이 마이너스고 채권 이자가 높으니까 채권에 손이 안갈 수 없.. 2022. 10. 6.
워런버핏의 통찰이 담긴 질문 안녕하세요. 수페입니다^^ 휴일이라 즐겁게 책을 읽고 있는데, 지금상황을 설명하는듯한 워런버핏의 통찰이 담긴 내용을 발견해서 공유드립니다! 우리 구독자분들도 아래 질문을 생각하며 지혜로운 투자하시길 응원합니다. 간단한 퀴즈를 내 보겠다. 만약 여러분이 평생 햄버거를 먹을 예정이고 소를 키우는 목축업자가 아니라면 쇠고기 가격이 높아야 좋을까? 낮아야 좋을까? 마찬가지로 만약 여러분이 자동차를 살 예정이고 자동차 제조업체 사장이 아니라면 자동차 가격이 더 높은 걸 선호할까? 아니면 더 낮은걸 선호할까? 물론 이 퀴즈의 정답은 분명하다. 이제 중요한 질문을 던지겠다. 만약 여러분이 다음 5년 동안 수익을 거두고 싶다면 그 기간에 주식시장이 더 오르기를 바라야 할까? 아니면 더 떨어지기를 바라야 할까? 많은 투.. 2022. 10. 3.
투자자라면 이영상을 매일 보세요! 제발요~ 올해초 0.25%였던 미국 기준 금리가 단숨에 3.25%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하고 있는데요 1년도 되지 않아서 3%가 올랐다는 건데 1월에 적금 이자가 1%였다면 지금 4%가 됐다는 겁니다 연초에 적금을 들었다면 이자건 뭐건 당장 깨서 다시 들어야겠죠 전세계가 이렇게 혼란스러운데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게 더 무서운 요즘입니다 이런 와중에 우리는 어떻게 투자해야 될까요? 난세를 어떻게 극복해야 영웅이 되는지 말씀드려볼게요 우선 어제 파월이 뭐라고 했길래 이렇게 난리가 났는지 볼게요 다양한 이야기를 했는데요 결국에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전까지 금리인상을 계속 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올해 예상되는 금리인상이 11월 0.75% 12월 0.5%입니다 연말까지 4.5%까지 올라간다는 건데 정말 끔찍합니다 조금더 자세.. 2022. 9. 23.
나스닥 4주연속 상승, 지금 사겠다고요? 말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돈을 공부하는 남자 수페TV의 수페입니다 이번주 금요일은 다행히 반등하면서 끝났는데요 이랬을 때는 주말이 행복해집니다 주간브리핑 요약부터 말씀드리면서 한주간 어떤일이 있었는지 점검해보겠습니다 첫번째 증시현황은 글로벌 증시가 모두 상승하면서 마감됐죠 투자방향을 보면 주단위로 끊어서 강강약강이었습니다 그러면 돌아오는 이번주 다시 강으로 이어질까요? 이슈러쉬에서 살펴보면 CPI가 둔화되면서 이번주 상승마감이 됐죠 그리고 빅테크 기업들이 헬스케어산업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대장기업은 어디될지 이것까지 파악하면서 한주를 마감지어보겠습니다 이번주 글로벌 증시를 보면 대부분의 국가, 기업 모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정말 다행인데요 그러는 와중에 조금씩 빠지는 기업들이 있죠 이번 실적이 안좋거나 가이던.. 2022. 8. 13.
728x90
반응형